삶에포인트를주자2015. 12. 27. 18:11

큰아이가 캐나다에 가는 바람에 요즘 와이프, 작은아이, 나 이렇게 셋이 지내고 있다.

셋이서 브런치를 먹으러 갔다가 올해 우리 가족의 10대 뉴스를 선정해 보았다.

 

올해도 많은 일들이 있었다. 기분좋은 일도 있었고 안 좋은 일도 있었고.

그래도 10대 뉴스를 쓰는데 안 좋은 일보다는 기분좋은 일들만 생각나서 좋았다.

의식적으로라도 그렇게 해야 하는데 말이다.

 

올해는 네 식구 각자가 바쁜 한 해였던 것 같다. 아이들은 아이들 나름대로 학원 다니고 공부하느라 바빴고, 나는 대학원 수료 후 논문 준비하랴, 회사 일로 바빴고 와이프는 전임이 되어 더 바쁜 나날을 보내고. 그래서 가족여행을 많이 다니지 못한 것 같다. 그래도 여름휴가를 일본 오사카로 다녀와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다만, 내년에는 휴가를 휴양지에서 보내고 싶단다, 와이프가.

 

 

 

 

아래는 매년 작성한 우리 가족 10대 뉴스다.

 

2013년 우리 가족 10대 뉴스

2012년 우리 가족 10대 뉴스

2011년 우리 가족 10대 뉴스
2010년 우리 가족 10대 뉴스

 

Posted by 일상과꿈
매일조금씩읽고쓴다2015. 12. 26. 18:16

지난 1년간 책을 얼마나 읽었나, 무슨 책을 읽었나 정리하고 있다.

 

책을 읽고 간단히 소감이나 독후감을 써서 모으기 시작한 것은 대학교 1학년부터이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근 25여년간 독서목록을 작성해 오고 있다.

 

올해 마지막으로 읽은 책의 번호가 "803 15-31"이다. 즉, 대학교 1학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총 803권을 읽었고 올해는 31권을 읽었다. 상반기에 좀더 읽은 것 같다. 하반기에는 논문 준비 때문에 가급적 읽지 않으려고 했었다. 책 대신 논문을 많이 읽자는 생각을 했었다.

 

2014년에는 20권을 읽었었다. 2013년에는 27권, 2012년에는 28권, 2011년 21권, 2010년 30권, 2009년 31권, 2008년 43권을 읽었다. 1,000권을 읽으면 나만의 독서법이나 독서경험을 총정리해 볼 꿈이 있는데, 아마도 이 정도 속도라면 한참 더 걸릴 것 같다. 그래도 조바심은 내지 않으려 한다.

 
* 2014년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 2013년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 2012년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 2011년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 2010년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 2009년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 2007년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올해 읽은 31권을 분류해 보면,

 

* 경영 / 리더십 / HR / HRD
  - 인사담당자가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
  - 김대리, 오늘부터 사회공헌팀이야
  - 나는 왜 법을 공부하는가
  - 다시 쓰는 경영학
  - 어떻게 일에서 만족을 얻는가
  - 리더십 카리스마
  - 팀장이라면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

 

* 인문학 / 철학

  - 그람시가 들려주는 헤게모니 이야기
  - 성찰
 

* 취미 / 소설 / 기타
  - 행복한 청소부
  - 우리나라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 심리학 백과사전
  - 미움받을 용기 
  - 상담의 디딤돌
 

* 자기계발
  - 1인기업이 갑이다
  - 4시간
  - 공병호의 공부법
  - 대학교수가 되는 299가지 방법
  - 미래에서 온 편지
  - 나는 회사를 해고한다
  - 일의 잠언
  - 교수처럼 써라
  - 공부로 돈버는 방법
  - 처신
  -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내가 직업이다
  - 매달 300만원
  - 사장의 본심
  - 일독일행 독서법 
  - 회사에서 끝까지 살아남는 대화법

  - 구본형의 필살기

 

올해는 자기계발 서적을 많이 읽은 것 같다.

 

내년에는 2가지 측면에서 책을 선정해서 읽도록 해야겠다.

첫번째는 작성중인 논문과 관련한 책들을 읽어야겠다. 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변인들, 즉 회복탄력성, 피드백 등에 대한 책들은 시중에도 많이 나와 있다. 이런 책들을 읽도록 하자.

두번째는 구본형 사부님께서 예전에 연구원을 대상으로 선정해 주신 책들 중에서 한 달에 한 권을 정해서 읽어야겠다. 그러면 깊이있는 책들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아래는 연구원들에게 매달 읽을 책을 알려준 게시문인데, 여기에 옮겨놓는다. 매달 확인하면서 한 권은 꼭 읽도록 하자.

 


3번 읽기 대상 저서 10 권( 이 중 한 권을 골라 3 번 읽을 것)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조셉 캠벨

변신이야기, 오비디우스

그리스 비극, 아이스킬루스/소포클레스/에우리피데스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

셰익스피어 3 대 비극, 셰익스피어 

파우스트, 괴테

관자, 관중

장자, 장주

목민심서, 정약용

열하일기, 박지원 

 

 

 

 

  

  

PART 1 TAKE-OFF 삶이 떠오르다 

 

 

 

4 월 신화 입문 - 나의 원형에 대하여  

9일 신화의 힘, 죠셉 켐벨 

17일(화) 변신이야기(1-2) , 오비디우스 

23일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죠셉 켐벨

30일 변신 이야기 혹은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2번 읽기 

 

 

 

5월 - 나, 신화와 문학 속의 영웅 혹은 좀팽이 1

 

7일 그리스 비극, 아이스킬루스/소포클레스/에우리피데스, 곽복록 역, 동서문화사 

15일 (화) 오디세이아, 호메로스

21일 율리시스, 제임스 조이스 

(4장, 13장과 18장만 읽을 것 - 반드시 조이스에 대한 저자 탐색과 책 소개 에 A4 10매 이상을 할애하도록 할 것) 

28일 신곡, 단테 알리기에리 (지옥과 천국만 읽을 것) 

 

6월 나, 신화와 문학 속의 영웅 혹은 좀팽이 1

 

4일 데카메론, 조반니 보카치오 혹은  캔터베리 이야기, 제프리 초오서 

11일 햄릿/리어왕/맥베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18일 파우스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25일 신곡, 햄릿/리어왕/맥베스, 파우스트 중에서 2번 읽기

  

PART 2 귀환 - 다시 땅으로  

7월 역사 속의 나 1 

2일 그리스인 이야기 1-2 , 앙드레 보나르, 책과 함께 

9일 그리스인 이야기 3, 앙드레 보나르, 책과 함께

16일 문명이야기 5-1, 르네상스, 윌 듀란트, 민음사 

23일 문명이야기 5-2, 르네상스, 윌 듀란트, 민음사 

30일 그리스인 이야기 혹은 문명이야기 두 번 읽기 

 

 

8월 역사 속의 나 2 

6일 (연구원 해외여행)

14일(화) 변신이야기 혹은 그리스 비극 혹은 신곡 두 번 읽기 

20일 사기열전 (상), 사마천, 민음사 

27일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삼국유사, 고운기, 현암사 

 

 

 

9월 - 역사 속의 나 3

 

3일   사기열전(상/하) 을 2번 읽기로 선택한 사람은 사기열전 (하)를 읽고, 

         나머지는 '사람에게서 구하라'(구본형) 를 볼 것

10일 난중일기‘, 이순신 혹은 백범일지, 김구 둘 중의 하나 읽을 것 

17일 카를 융 자서전, 기억 꿈 사상, 카를 융, 김영사 

24일 사기열전 혹은 카를 융의 자서전 중 골라 두 번 읽기 (두번 째) 

 

 

10 월 - 사유의 방식, 인류는 어떻게 생각해 왔는가 ? 

 

1일 신, 서양 문명을 읽는 코드, 김용규 

8일 즐거운 지식, 프리드리히 니체

15일 서양의 지혜, Wisdom of The West 버트런드 러셀

22일 목민심서, 정약용 혹은 ‘다산선생 지식경영’, 정민 

29일 열하일기, 박지원, 리상호역, 보리 ( 리상호 선생 번역이 최곤데, 요거 3권 짜리다.  원문 빼고도 양이 조금 많다)   

 

11월 동양의 고전 세계, 내가 숨쉬는 문화를 찾아서 

 

5일 강의, 신영복 

12일 동양 고전 (강의에 소개된 고전 중 가장 읽고 싶은 1권을 선택하여 읽을 것)

19일 관자, 관중, 소나무 (두께에 놀라지 마라. 부피의 1/3에 불과하다) 

26일 장자, 장주 

 

 

 

12월 무엇이 앞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 

 

-저자들에 대한 서치를 단단히 할 것. 적어도 3 페이지 이상 준비할 것. 

- 아래 저자의 책 중 본인의 취향과 관심사에 맞는 책을 직접 골라

읽고 정리할 것. 

 

3일 장하준의 책 한 권 

10일 다니엘 핑크의 책 한 권 

17일 경영의 미래, 게리 해멀 

24일 자크 아탈리의 책 한 권 

31일 관자와 장자 중에서 두 번 읽기에 들어 갈 것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12. 24. 19:29

<HRD Quarterly>의 최근호(2015년 겨울, 26권 4호)에 실린 아티클 리스트.

 
Talen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Diversity: A Call for Research.
Sheehan, Maura; Anderson, Valerie

 

Employees' Perceived Use of Leader Power and Implications for Affect and Work Intentions.
Zigarmi, Drea; Roberts, Taylor Peyton; Randolph, W. Alan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on Employees' In-Role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Cho Hyun Park; Woocheol Kim; Ji Hoon Song.

 

Organizational Attitudes as Precursors to Training Performance.
Sungjun Kim; Huh-Jung Hahn; Jinkyu Lee.

 

Developing and Applying a New Instrument for Microanalysis of the Coaching Process: The Coaching Process Q-Set.
Bachkirova, Tatiana; Sibley, Jonathan; Myers, Adrian Christopher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12. 24. 19:28

<HRD Review>의 최근호(2015년 12월, 14권 4호)에 실린 아티클 리스트.

 

Editorial
Julia Storberg-Walker
 
Foundations and Philosophy of HRD
Reclaiming the “D” in HRD: A Typology of Development Conceptualizations, Antecedents, and Outcomes

Thomas N. Garavan, David McGuire, Monica Lee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s 

Affective Commitment as a Core Esse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Zachary A. Mercurio
 
Characteristics of “Masculinized” Industries: Gay Men as a Provocative Exception to Male Privilege and Gendered Rules
Joshua C. Collins


 

Theory and Conceptual Articles


A Framework for Facilitating Experiential Learning
Makoto Matsuo

 

A Place at the Window: Theorizing Organizational Change for Advocacy of the Marginalized
Seth A. Jacobson,  Jamie L. Callahan, Rajashi Ghosh
 
Relational Mentoring Episodes as a Catalyst for Empowering Protégés: A Conceptual Model
Julia M. Fullick-Jagiela, Amy Klemm Verbos, Christopher William Wiese

 

 

Debate and Dialogue
When Methodologies Become Theologies, Applied Disciplines Falter 
Thomas J. Chermack, Richard A. Swanson

 

 

Posted by 일상과꿈
삶에포인트를주자2015. 12. 20. 20:51

지금은 HRD만 하지는 않지만 예전부터 HRD업무를 하거나 교육을 진행하면서 익혔던 방식을 집에서 아이들에게도 하면 아이들이 생각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될 듯하여 종종 시도해 보고 있다.

아이들이 의외로 잘 따라줘서 재미있고 고맙기도 하고..

그렇게 시도했던 방법들을 PPT로 모아보았다.

 

이름하여 "어느 HRD담당자의 아이와 교육적으로 놀기"

 

 

 

 

 

 

'삶에포인트를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춤 보고 맞추기  (0) 2016.05.07
2015년 우리가족 10대 뉴스  (0) 2015.12.27
가족에게 크리스마스 카드를...  (0) 2015.12.15
작은아이와의 대화 2  (0) 2015.11.16
결혼기념일 축하편지  (0) 2015.10.17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