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12. 1. 18:25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는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도구이다.

Pintrich 등이 1991년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라는 문헌에서 대학생들의 동기부여 성향(motivational orientation)과 학습전략 사용에 대해 진단하기 위해 소개하였다.

MSLQ는 크게 2개의 섹션(section)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기(motivation) 섹션은 6개의 척도, 31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습전략(learning strategy) 섹션은 9개의 척도, 50개 문항(인지/초인지 전략 31문항, 자원관리 전략 19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는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에 나온 목차 중 일부이다.

 

 

아래는 정영선 등(2010)의 논문에 나온 것이다.

자기효능감을 학습과 관련한 변인으로 정하여 측정할 때는 MSLQ 도구 중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항을 사용하기도 하는 것 같다. (예, 주영주 등(2015))

주영주, 정유진, 고경이. (2015). 원격평생교육에서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의 영향 변인 분석.

 

아래는 www.riss.kr에서 MSLQ로 검색해서 나온 학술지 논문들이다. 아래 논문들을 읽어보면 어떤 식으로 국내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학습동기,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일현, 김연희, 교육과학연구, Vol.45 No.2, [2014]

체육 학습동기화 전략 질문지의 구인 동등성과 잠재평균 차이 
정구인, 박중길,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Vol.52 No.3, [2013]

사이버대학교 신입생의 삶의 만족도와 학업적응 요인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조한익 이성원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1, [2013])

대학생의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연희, 이종경, 이하늘, 이선아, 열린교육연구, Vol.19 No.3, [2011]

특성화 대안학교 학생들의 메타인지 수준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윤주영, 學校敎育硏究, Vol.6 No.1, [2010]

사이버 대학교 성인학습자의 학습전략, 동기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연구 
정영선, 김현영, 강선우, 교육종합연구, Vol.8 No.2, [2010]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행 분석 
전명남, 敎育心理硏究, Vol.17 No.4, [2003]


참고문헌

Pintrich, P. R.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11. 28. 09:15

한국인력개발학학회에서 발간하는 <HRD연구>의 최근호에 실린 아티클 리스트. (2015년 17권 3호)

"전문직 정체성"이라는 변인이 있나 보네...한번 자세히 봐야겠다.

 

 

학점은행제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평생교육 담당자와 학습자의 요구분석
권대봉, 허선주, 김재현, 김희동, 이윤수


고용센터 직업상담사의 업무환경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전문직 정체성의 매개효과
김민규

 

델파이 조사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전문가의 역할 및 역량 탐색
김연경, 송해덕, 이지현


직무급 인사제도 재구축을 통한 조직 개발 사례 연구
신수진, 조대연


자기결정성이론의 HRD 적용에 대한 논의
정승환, 장형심

 

 

 

 

Posted by 일상과꿈
자기다움찾기2015. 11. 21. 11:37

"여보, 얘기 좀 들어봐."
"응? 뭐?"

 

와이프가 초등5 작은아이와 함께 저녁을 먹으면서 말을 꺼낸다.

 

"니가 얘기할래? 아니면 엄마가 얘기할까?"
"엄마가 얘기해."

 

얘기는, 아이 반 선생님께서 모둠별로 욕을 하거나 떠들거나 인 좋은 행동을 하면 X표를 준다는 것이다. 그런데, 아이가 속한 모둠은 그동안 X가 하나도 없었는데 아이들도 모르는 사이 X가 하나 생겨서 아이들은 "선생님, 저희가 왜 X에요?"라고 물었고, 선생님의 답변에 아이들이 더이상 얘기를 못했다고 한다.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한 말은,
"왜? X 하나 더 주랴?"
이었다는 것이다.

 

설명하는 도중에 흥분한 와이프가 나에게 말한다.
"이건 선생님이 권위를 이용해서 아이들에게 아예 말을 못하게 한거 아냐?"

아이에게도 말한다.
"부당하다고 생각할 때는 얘기를 해야해. 가만히 있으면 안 돼!"

 

내가 아이에게 몇 가지 물었다. 정말 선생님께서 체크한 게 맞는지, 말씀하실 때 표정이 장난은 아니었는지 등등. 표정이 무서웠단다.

 

"뭔가 부당하다고 느낄 때 크게 반발하는 사람도 있고, 싸우려는 시람도 있고, 점잖게 얘기하는 사람도 있잖아?"

아이의 답변.
"맞아, IS는 싸우려는 거지?"
"아니, 걔네는 원래 나쁜 애들이고. 부당한 것에 대응하는 게 아니고. 어땟든 부당하다고 느끼면 왜 그러는지 물어볼 수 있잖아? '선생님, 저희는 왜 X를 받았는지 몰라서 여쭤보는 거에요.'라고 말씀드리면서. 그건 선생님께 대들거나 반항하는게 아니라 그냥 이유를 여쭤보는거야. 이유는 누구에게든 물어볼 수 있잖아?!"

 

 

아이가 커서도 사회에 나가서도 부당한 것에는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Posted by 일상과꿈

 

 

"인간으로서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 교육의 목표 아닌가!"

 

 

 

 

지식채널e에서 나온 말.

 

 

 

Posted by 일상과꿈

중앙대 GHRD대학원에서 2016년 상반기 신입생을 모집하네요. 회사에서 HRD업무를 하시거나 향후 커리어를 HRD로 고민하시는 분들은 한번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아래 글들을 보시기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제가 아는 한에서는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받은 중앙대 HRD대학원 면접 질문

 

중앙대 GHRD대학원 합격 수기

 

중앙대 글로벌대학원 HRD학과 소개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