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12. 17. 23:40

"지식근로자에서 학습근로자로"

"From knowledge worker to learning worker"

 

학습 테크놀로지 전문가 Jane Hart가 블로그에 포스팅한 글이다.

이제 더이상 지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며,

HRD전문가들은 지식전달을 중시하기보다 직원들이 '학습 방법을 학습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고 한다.

 

점점 Meta learning (learning how to learn)이 더욱 중요해지는 것 같다.

 

 

Posted by 일상과꿈
자기다움찾기2015. 12. 15. 13:00

벌써 12월도 보름이 지나가고 있다.

2015년도 이렇게 지나간다.

많은 일들이 있었다. 힘든 일, 즐거웠던 일...

 

연말까지도 계속 바쁘겠지만 나의 1년을 정리해 보자.

매년 연말에 하듯이 나만의 방식으로 1년간 나는 어떤 성장을 하였는지, 내가 가는 길은 맞는지, 이렇게만 하면 되는지 돌아보는 시간을 갖자.

 

2019, 40대 나의 인생경영 읽고 업데이트

2015년 10대 풍광 정리

2016년 10대 풍광 작성

2016년 나의 사자성어 선정

• 업무 이력서 1년 실적 정리 

1년간 쓴 일기 읽고 성찰하기

1년간 읽은 책 정리

1년간 쓴 블로그 글 읽고 정리하기

1년간 쓴 HR경험을 모아서 "시작하는 HR을 위해" pdf 업그레이드하기

가족 10대 뉴스 선정

가족 서로에게 크리스마스카드 쓰기

1년간 쓴 "어느 HRD담당자의 아이와 교육적으로 놀기" pdf 만들기

 
 
* 예전 글  
  "내가 1년을 정리하는 법 - 2013년"

  "내가 1년을 정리하는 법 - 2012년"

  "내가 1년을 정리하는 법 - 2011년"

  "내가 1년을 정리하는 법 - 2010년"  

 2014년에도 틈틈이 정리를 했는데, 이렇게 모아놓은 포스팅은 없네...

 


 

Posted by 일상과꿈
삶에포인트를주자2015. 12. 15. 12:54

매년 연말이면 가족행사처럼 하는 것이 있다.

바로 서로에게 크리스마스 카드 쓰기이다.

작년에도 했던 기억이 새롭다.

올해도 다같이 교보문고에 가서 카드를 사오려고 했는데,

와이프도 그렇고 아이들도 그렇고 다들 바쁜듯 하여

내가 교보문고 간 김에 카드 12장을 사왔다.

 

일요일 저녁시간에 저녁을 먹고 다같이 거실 테이블에 둘러앉아 카드를 썼다.

12장의 카드 중 자기가 원하는 카드 3장을 고른 다음에 자기 이름을 쓰고 다른 3명에게 줘서 쓰도록 하는 식이다.

카드를 고르면서 표지에 나온 그림들을 보고 이야기하고 웃고...

할머니가 그려진 카드를 아빠가 가진 것을 보고 박장대소한 작은아이의 웃음소리가 아직도 생생하다.

 

예전에는 이런 걸 왜 하냐는 말도 했었는데, 이제는 당연히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서로 둘어앉아 이야기하면서 편지를 쓰는 것이 우리 가족의 소소한 행복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12. 11. 18:11

TD Korea 7월호에 Learning Agility, Agile Learner에 대한 기사가 번역되어 실렸다.

 

'Agile Learner'를 우리 말로는 '민첩한 학습자'라고 하며 Korn Ferry의 정의로는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학습하여 그것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스킬을 습득하며, 늘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모호한 상황에서도 좋은 성과를 나타내는 사람"을 의미한다고 한다.

 

컬럼비아 대학교 사범대학과 CCL(Center form Creative Leadership)의 연구진이 발간한 백서가 있다고 한다. 나중에 학습민첩성을 깊게 들여다볼 때 유용할 자료인 것같다. 

"학습민첩성 배우기"
http://insights.ccl.org/wp-content/uploads/2015/04/LearningAgility.pdf

 

기사 중에 눈에 띄는 내용도 있다.

Elliott Masie는 학습을 '습관'으로 정의한다고 한다. 개인이 지식이나 스킬을 습득하고자 매일 또는 매주 반복하는 일상이 학습을 이룬다는 것이다. 즉, 읽고, 보고, 듣고, 따르고, 몰두하고, 참여하고, 찾고, 시도하고, 고심하고, 쓰는 행위를 말하는데 www.masie.com 사이트를 참조하면 좋다고 한다.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12. 6. 22:09

학습접근방식(learning approach 또는 approach to learning)이란 개인적이고 맥락적인 특성에 의해 좌우되는 학습자에 의해 선택되는 동기 및 적합한 전략의 결합이라고 개념화할 수 있다(Froehlich , 2014). 학습접근방식의 개념을 처음 소개한 MartonSäljö(1976)은 학습접근을 학습과업에 대한 학생의 의도와 의도를 충족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결합으로 개념화하였다.

 

일반적으로 심층학습(deep learning), 피상학습(surface learning)으로 구분하고 전략적학습(strategic learning)을 포함하기도 한다.

 

학습접근방식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소개된 이후 주로 학교환경에서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일터에서의 학습접근방식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아래는 우리나라에서 2010년 이후 학습접근방식에 대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이다. (학위논문은 제외). 최근에는 이화여대 교육공학과 주영주 교수님께서 연구를 많이 하시는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일터에서의 학습접근방식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