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방  [代書房]

 

"남을 대신하여 서류나 편지 따위를 써 주고 돈을 받는 곳"이라는 뜻이다.

옆 자리 전략팀장과 회의를 하다가 그런 얘기가 나왔다.

어떤 팀장은 대서방 같은 역할만 한다고...

, 자기 의견이나 방향은 없이 그냥 윗사람이 시키는 대로만 맞춰서 일하려 한다고...

 

나를 염두에 두고 한 말은 아니었으나 생각해 보니 내가 새겨야 할 말 같다.

HR을 하다보면, 특히 HR Administrator, HR 행정가로서의 일을 하다보면 이미 정해진 것을 집행하는 것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인사발령 같은 경우에 이미 현업에서 다 정해진 것을 통보받으면 그냥 시스템으로 처리만 하는...

 

비즈니스 파트너가 되려면 주고받는 것이 있어야 한다.

부르는 거 받아적기만 해서는 안 된다.

나의 의견이 있어야 한다.

현업이 요청하는 것에 대해 첨삭을 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부르는 거 받아적는 일만 하지 않도록 하자.

 

근데, 현실은 참 어렵다...

HR이 비즈니스를 뭘 아냐는 시선도 많고 HR제도나 원칙은 있으나 비즈니스가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도 있고...

 

그럴 때일수록 새겨듣자.

"대서방이 되자 말자".

 

 

 

 

'HR에서프로가된다는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웠는데 떠나면 어떡하냐는 질문에...  (2) 2016.05.05
전 직원 면담하기  (0) 2016.04.30
팀원 부르는 방법에 대해  (0) 2016.02.18
팀원 피드백 방법  (0) 2016.02.13
인턴 면접코칭 해주기  (0) 2016.02.10
Posted by 일상과꿈
매일조금씩읽고쓴다2016. 4. 24. 20:07

 

 

제목 : 공부책

부제 : 하버드 학생들도 몰랐던 천재 교수의 단순한 공부 원리

저자 : 조지 스웨인 (1857-1931)

역자 : 윤태준

출판사 : 유유

출판연월 : 2014 1 (초판 7쇄 읽음)

읽은기간 : 2016.4.14~4.23

 

 

 

 

포켓 사이즈의 얇은 책이다. 교보문고에 갔다가 보여서 산 책이다. 저자의 주장이 내가 요즘 연구하는 주제와 맥락이 같아서 샀다. 저자는 단순 암기가 아니라 깊게 이해하고 생각하는 학습을 해야 한다고 한다. 이 주장을 학습접근방식(learning approach)와 연결시킨다면 단순암기란 surface learning을 말하고 깊게 이해하고 생각하는 것은 deep learning을 말한다.

 

그런데, 다 읽고 찾아보니 이 책은 우리나라에 2014년에 번역 출간되었지만 최초 발간된 것은 1917년이라고 한다. 저자인 조지 스웨인 교수는 MIT와 하버드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1857년에 태어나서 1931년에 돌아가셨다.

 

저자는 교육의 목적을 "삶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게 하고, 잠재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 책에서는 공부할 때의 마음가짐, 체계성, 자주성, 올바른 공부습관과 방법 등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6. 4. 13. 18:08

작년 "몰입"에 대한 수업을 들을 때 "번영감(Thriving)"이라는 개념에 대해 접하게 되었는데, 올해 비슷한 시기에 2개의 잡지에서 소개되었기에 유심히 보게 되었다. 비즈니스가 여전히 어렵고 주변 동료들이 떠나는 상황에서 우리 직원들에게 필요한 것이 번영감이 아닐까 싶다. 특히 사원, 대리들과 같은 쥬니어들에게 어떻게 우리 회사에서의 번영감을 심어줄 수 있을까 고민해 보면 좋을 것 같다. 그걸 정리해서 논문으로 내도 좋을 것 같고.

 

검색해 보니, 이미 국내에도 번영감을 주제로 나온 박사논문도 2편이 있고 소논문도 조금씩 나오기 시작하는 것 같다.

 

 

 

 

번영감 (Thriving at work) 정의

 

 

근무 중에 활력감(Vitality)과 학습감(Learning)을 동시에 경험하는 상태로서 궁극적으로 자신이 조금씩 성장, 발전하고 있다고 느끼게 되는 것

 

활력감 : 에너지가 충만하고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열정을 느끼는 상태

학습감 : 무엇인가를 획득해 가고 있는 느낌

 

성장하고 있다는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은 일반적으로 정서적 차원과 인지적 차원의 느낌을 같이 포함함

 

 

번영(번창)하는 사람이 되기 위한 7가지 (by Donna Stoneham)

 

 

1)     신뢰 : 절대 혼자 하는 여행은 여행이 아니라는 것을 믿는 것

2)     겸손 : 자신감을 가지되, 겸손함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

3)     회복력 : 위기를 극복하고 올바른 방향을 선택하는 것

4)     내면의 방향 : 자신만의 나침반에 따르고 그것이 실패하지 않을 것임을 믿는 것

5)     비전 : 자신의 비전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는 것

6)     발전성 : 시야를 넓히는 것

 

7)     책임감 :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지는 것

 

 

번영감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방안

 

- 조직적 특성 : 의사결정의 재량권 확대, 정보 공유, 신뢰와 존중의 분위기

- 업무수행 과정에서 획득하는 지식

- 일에 대한 긍정적 정서

- 관계자원

 

 

관련도서

<The Thriver’s Edge: Seven Keys to Transform the Way You Live, Love, and Lead> by Donna Stoneham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edited by Arnold B. Bakker and Michael P. Leiter -> chapter 10에 나옴

 

 

참고문헌

개인과 조직의 성장을 위한 Thriving at work”, 월간 인사관리 2016 4월호

당신의 일에 먼저 집중해라”, 월간 TD Korea, 2016 3월호

 

 

 

 

Posted by 일상과꿈

학습접근방식(deep learning, surface learning)에 대한 설명을 짧은 영화 형태로 만든 것을 유튜브에서 발견했다. 기본적으로 John Biggs 교수님의 Constructive Alignment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것 같다.

총 3편인데, 3편의 마지막에는 John Biggs 교수님의 comment까지 실려있다.

 

John Biggs 교수님은 호주, 홍콩 등에서 활동하신 교수님으로 현재는 은퇴하셨는데, 학습접근방식(Learning Approach), 메타러닝(Meta-Learning)에 대해 많이 연구하신 분이시다.

 

 

 

 

 

 

Posted by 일상과꿈
삶 자체가 HRD!2016. 4. 11. 08:54

비폭력대화 연습 #10 (감사하기)

 

시골 아버지께서 일요일 산악회 가신다고 하여 우리가 내려가서 어머니와 함께 있기로 했다.
큰아이는 중간고사가 얼마 남지 않아 집에 있고 작은아이만 같이 가기로 했다.
언니는 안 가고 자기만 가는거라 좀 짜증이 나고 기분이 안 좋을 수도 있는데 그래도 잘 따라나섰다.

 

저녁에 서울로 돌아오는 차에서 작은아이에게 감사의 대화를 했다.

 

"수연아, 아빠가 같이 성환에 가자고 했는데 짜증날 수도 있는데 그래도 싫은소리 안 하고 잘 같이 와서" (관찰)
"너무 고맙고 대견해" (감사)
"아빠는 할머니 혼자 계시니까 손녀인 너도 같이 가서 있어주기를 바랬거든" (욕구)
정말 고마워"


 

간단히 "수연아, 같이 와서 고마워" 라고 할 수도 있지만 비폭력대화에서 배운대로 관찰과 내 욕구 표현을 넣었더니 좀더 명쾌해지는 것 같았다.

아빠가 왜 고마워 하는지 아이가 좀더 명확히 알 수 있었을 것 같다.

 

 

'삶 자체가 H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본을 보면서..  (0) 2016.09.11
비폭력대화 #11  (0) 2016.05.02
비폭력대화 연습 #9  (0) 2016.04.06
비폭력대화 연습 #8  (2) 2016.04.04
비폭력대화 연습 #7  (0) 2016.03.11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