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내용&트렌드 학습2016. 8. 26. 14:49

우리 팀이 L&D CoE 역할을 하기 때문에 최근 HRBP, CoE 모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료를 찾아보면서 조금씩 스터디를 하고 있다.

 

그룹에서는 HR조직의 모델이 Dave Ulrich 교수가 제시한 HRBP, CoE, Shared Service 모델로 가야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 중 L&D 기능이 CoE로 구현되기 쉽기에 부문의 HRD 인력을 일부 통합하여 우리 팀이 L&D CoE 역할을 하고 있다.

 

아래는 CoE 자료를 찾다가 본 자료이다. 스터디할 겸 번역을 했다.

우리 상황에서는 아래 이슈와 해결방안 중 어떤 것들이 해당될지 생각해 봐야겠다.

 

 

Posted by 일상과꿈

Rhem(1995)는 심층학습(Deep Learing)의 4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echoed by McKay & Kember, 1997)

 

 

1. 구조화된 지식기반으로 개념에 포커스를 두고 지식을 통합하고 경험을 축적함
2. 내적 동기를 강조하면서 자료에 대한 오너십을 가지는 적절한 동기부여 레벨
3. 활동적인 학습과 연계된 학습자 활동
4. 학생-교수자, 학생-학생 간의 상호작용

 

참고문헌

Rhem, J. (1995). Deep/surface approaches to learning: An introduction. The National Teaching and Learning Forum, 5(1), 1-4.

Posted by 일상과꿈

 

제목 : 현대인들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부제 : 위대한 인문과학자들의 공부법을 통해 본
저자 : 노규식
출판사 : 알투스
출판연월 : 2016년 1월 (초판 1쇄 읽음)
읽은기간 : 2016.8.12~8.19

 

 

 

 

저자 노규식 원장님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서 연세휴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이시라고 한다. SBS <영재발굴단> 자문위원으로 활동중이며 뇌와 학습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공부법에 대한 강연을 한다고 한다. 학습법 관련해서는 전두엽 기능에 따른 학습법을 공부하기 위해 하버드대 교육대학원에서 연수했다고 한다.  대치도에서 학습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책 속에서는 학생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다고 하니 직장인에게도 학습법 클리닉을 하는 것 같다.

 

부제에도 나와 있듯이 정약용, 칸트, 이이, 파브르, 일론 머스크, 아인슈타인, 벤저민 프랭클린 총 7명의 학자 또는 유명인의 학습법을 조사 연구해서 정리한 책이다. 총 3장 중 이 부분이 제일 많다. 그런데, 7명의 학습법을 파헤쳤다기보다는 저자가 기존에 알고 있던 학습법을 맞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좀 들었다. 예를 들어, 칸트의 학습법을 설명하면서 '딱 10퍼센트만 미리 해놓기 훈련'을 소개하고 있는데, 딱히 칸트가 그렇게 했다는 얘기도 없다. 정약용이 책을 읽을 때는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널리 고찰하고 세밀하게 연구해서 그 근본 뿌리를 파헤치는 식으로 해야 한다고 하는데 이걸 메타인지 학습법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어딘가 어색하다.

 

책 제목에 왜 굳이 '현대인'이라고 하였을까 생각해 봤는데, 학습법을 알려주고 상담 클리닉도 운영하고 있어서 이 책의 대상을 딱히 학생이나 직장인으로 한정하기보다는 '현대인'이라고 좀더 포괄적으로 지은 것이 아닐까 싶다.

 

책에 수많은 공부 기술이 소개되고 있는데, 책 전체를 관통하는 저자만의 학습법이나 주장은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책 전체적으로 전두엽을 활용한 학습법, 전두엽 훈련에 대입하여 설명을 많이 하고 있다. 제대로 된 공부는 전두엽의 실행기능을 100퍼센트 활용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공부 두뇌 유형을 등산형-둘레길형, 청각형-시각형으로 나눠서 총 4가지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저자가 개발한 유형인 것 같다. 그런데, 각 유형에 맞는 학습법을 자세히 소개하기보다는 각 유형에 맞는 인문과학자 7인을 알려주면서 그들의 학습법을 따라하라고 얘기한다. 차라리 각 유형에 맞는 학습법을 따로 정리해서 제시해 주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싶다.

 

책 전체적으로 다양한 학습법을 소개하고 있어서 좋긴 한데, 저자가 학습 클리닉을 운영한다고 하니 차라리 상담한 사례들을 스토리 식으로 소개해 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 책을 읽으면서 떠오른 아이디어들
- 상담, 카운슬링을 배워놓을까? 나중에 직장인을 대상으로 학습법에 대해 상담이든 코칭이든 하려고 하면..
- 러너코리아의 전두엽 교육과정 들어볼까?
- 심층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이해력을 높여야 한다. 이해력에 대한 책을 읽거나 간단히 내가 정리해 볼까?
- 직장인들은 학습법에 대해 어떤 클리닉을 받는지 찾아보자.


 

Posted by 일상과꿈

TEDx에서 본 HR 관련 동영상.

일터에 있는 구성원을 humanly하게 대할 것이냐, humanely하게 대할 것이냐는 문제 제기.

 

인간은 the need to be appreciated, the need to belong, the need to be making a meaningful contribution와 같은 욕구가 있다고 함.

"to honor someone's worth at work"(일터에서 타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으로 시작하자는 제안.

 

Posted by 일상과꿈

<공부와 열정>의 저자인 제임스 바크가 2006년 구글에서 강연한 동영상을 보다가 슬라이드 몇 개를 캡쳐했다. 전문가, 전문성에 대해 새겨볼 조언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아래는 그 중 하나이다.

 

 

비전문가는 문제나 이슈에 대해 아래처럼 말한다.

 

- 예, 그렇게 책에서 말하고 있습니다.
- 이게 맞습니다.
- 그게 잘못 되었습니다.
- 모릅니다. (침묵...)

 

전문가는 문제나 이슈에 대해 아래처럼 말한다.

 

- 맥락에 대해 좀더 말해 주세요.
- 그게 어떻게 사실인지 또는 거짓인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생각해 봅시다....
- 그걸 재구성하자면...
- 몇 가지 가능한 답변이 있습니다.
- 이게 제가 문제를 풀었던 한 가지 방법입니다.
- 모릅니다. 이렇게 찾아보려 합니다...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