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8권 제2호, 2016.6

 


농업계 고교 산업연계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 사회적 지원, 교육만족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차승봉, 박성열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훈련인프라 사업의 심사 및 성과평가 지표개발
이찬, 정보영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노윤신, 정철영

 

 

귀농ㆍ귀촌인의 교육 참여 영향 요인 탐색
마상진, 김경인

 

 

서울지역 대학생의 자발적 졸업연기에 대한 질적 연구 
조규형, 임정훈, 송수종, 정철영, 김진모

 

 

Posted by 일상과꿈

<기업교육연구> 2016년, 제 18권 제 1호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정체의 매개효과
김현우,홍아정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조대연,두민영 

 

CIPP 모형에 기반한 산업안전보건 직무교육기관의 교육운영 실태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배광민,박윤희  

 

경험을 통한 창업가의 학습 연구
박한림,오헌석 

 

신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인적자원개발: OECD PIAAC 연구결과의 시사점
김태준 

 

벤처기업의 성공적 창업을 위한 창업교육 전략 개발
이용희,홍광표,정유섭,박수홍 

 

기업교육 연구 동향 분석: 기업교육 학회지(2000-2014) 논문을 중심으로
윤옥한  

 

플랜트산업 직장인의 자기지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관계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고용형태의 다집단 분석
이상택,조한익  

 

대기업 근로자의 내재적 동기가 일터 유희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이찬,신승용,정혜윤,정보영 

 

한국대기업의 해외지역전문가 운영현황과 육성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박성민 

 

Posted by 일상과꿈

<HR Insight> 8월호에 실린 글 중 "HR 진화 프로세스"라는 것이 있어 재미있게 보았다.
HCG에 계신 분이 쓰신 글이고 HCG에서 제시하는 5Gear 모델에 따른 글이긴 하지만 그래도 HR의 변화 방향성을 HR 1.0, 2.0, 3.0으로 정리해 놓았기에 유용하다.

 

이제 우리는 HR 3.0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한다.
뉴노멀 시대에 민첩하게 HR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한다.
즉, HR 3.0 = Agile HR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여담이지만, 사람에 대한 관점을 경쟁력 원천으로 보는 3.0 시대에 여전히 Human을 Resource로 보는 HR이라는 단어가 적합한가 하는 생각도 든다.
사람을 자원으로 보지 않고 진정 사람 그 자체로 본다면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가 아니라 HD(Human Development)가 맞지 않을까?


 

Posted by 일상과꿈
자기다움찾기2016. 8. 5. 11:24

지난 4월인가 5월에 호 형님과 식사를 하면서 커리어에 대한 대화를 한 적이 있다.

컨설팅과 강의, 워크샵, 코칭으로 많이 바쁨에도 불구하고 나에게 시간을 내주고 좋은 조언을 해 주어서 정말 감사할 따름이다.

 

아래는 호 형님께서 나에게 질문한 것들이다.

항상 나에게 생각할 거리를 주는 질문들을 잘 하신다.

 

* 지금 벌어진다면 가장 해피한 상황 3가지를 말한다면?

* 향후 2~3년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하고 싶던 것을 해서 남들이 뜻밖이다 라고 생각할 만한 것은?

* 외국계 기업으로의 이직은 어떠냐?

 

 

호 형님도 커리어는 항상 고민이라고 하신다.

 

* 계속 뿌려봐야 그 중에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 것, 비즈니스로 이어지는 것이 나올 수 있다. 그래서, 계속 이것저것 시도해 보는 것이다.

* 60세 이후에는 뭘로 먹고 살아야 할지 막막하다.

* 2~3년 후에는 리빙페어 같은 곳에 목공 작품을 내는 것이 계획이다.

 

 

 

'자기다움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 vs. 120%  (0) 2016.09.27
[중간점검] 2016년 나의 10대 풍광  (0) 2016.09.10
효과적인 리더들의 심리적 특징 3가지 (TD Korea)  (0) 2016.07.23
한달 즈음에...  (2) 2016.07.23
다시 HRD의 세계로..  (2) 2016.06.24
Posted by 일상과꿈

<HR Insight> 8월호에 GE코리아의 HR BP(Business Partner) 사례가 소개되었다.

GE코리아 이미라 인사총괄 전무님께서 HR BP가 갖춰야 할 역량을 4개로 정리해 주셨다.

 

1) Trusted Advisor : 인간적인 신뢰 뿐만 아니라 업무 전문성에 관한 신뢰까지 포함
2) Business Strategist : 비즈니스 감각이 있고 사람에 대한 관심과 관련 업무 능력이 뛰어나야 함
3) Culture Shaper : HR은 문화를 만들어가는 중심에 있어야 함
4) Progressive Thinker : 현재 주어진 업무 외에 비즈니스 트렌드나 HR트렌드를 파악/전달하여 조직의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사람

 

생각해보면, BP(Business Partner)란 것은 HR 뿐만 아니라 재무, 구매 등 모든 간접부서가 추구해야 할 역할이 아닌가 싶다.

비즈니스의 성공을 위해 경영진의 파트너 역할을 해야하니까 말이다.

 

그런데, 왜 유독 HR만 이렇게 자신이 BP가 되어야 한다고 강하게 강조하는 것일까?

(아니면, 다른 function들도 강조하고 있는데, 내가 HR 안에 있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는 것인가...?)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