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의 역할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원 (2013).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기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팀제도 확산에 맞추어 팀의 과업 달성과 팀원의 몰입을 높이기 위한 팀장의 역할과 팀 효과성에 미치는 팀장 수용도의 조절효과를 살피고자 함
팀장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변혁적/거래적 등 이분법적 관점을 가짐
실재적으로 팀장은 팀 내에서 다양한 행동을 보이며 최근 통합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음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팀장의 역할유형을 살피고자 함
연구 설계 (이론적 배경 / 연구방법)
¨ [독립] 팀장의 역할유형
Quinn & McGrath(1988)의 4가지 역할 더미로 분류
비전제시형(Vision setter), 과업지향형(Task master), 분석가형(Analyzer), 동기부여형(Motivator)
총 16개 항목으로 차상위 리더가 평가함
¨ [종속] 팀 효과성
팀 매출액, 팀원 이직률 : 인사팀으로부터 3개월(2011년 5월~7월) 데이터를 받음
팀원 몰입 : Allen & Meyer(1990)의 항목을 재구성하여 3문항
¨ [조절] 팀장 수용도
상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마음의 상태이자, 기꺼이 행동으로 옮기려는 심리적 작용
하위 개념 : 내면화(정신적 측면), 순응(행동적 측면)
O’Reilly & Chatman(1986)에서 사용한 내면화와 관련된 5개 항목 중 2개 및 Bond & Bruce(2002)에서 순응과 관련된 2개 항목을 수정 인용하여 총 4개 항목으로 측정
¨ [통제] 성별, 연령, 리더와 함께 근무한 기간, 근속년수
¨ 자료 수집 및 분석
표본 : 교육서비스기업의 차상위 리더인 본부장과 팀원으로 이루어진 102개 교육 팀
표본에 대한 일반적 특성 파악 :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신뢰성 검증 : Cronbach’s a -> 0.6 이상의 높은 수준임
타당도 분석 :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분산추출의 값과 비교
개인 수준에서 수집된 정서적 몰입과 관련된 자료에 대한 응답자들의 응답에 대한 일관성(consistency) 검증 : ICC(1), ICC(2)
모든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팀장의 역할행동과 팀 성과 및 팀원의 만족에 관한 연구가설 검증 : 구조방정식
역할 다양성과 팀장 수용의 조절효과 : 다중집단 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통해 집단 간 교차타당도 분석
실증 분석
¨ 가설검증
1) 가설 1: 팀장이 비전제시형, 동기부여형, 분석가형, 과업지시형의 역할을 각각 수행할 때 팀의 정량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가설 1-1. 팀장이 비전제시형, 동기부여형, 분석가형, 과업지시형의 역할을 각각 수행 -> 팀의 매출액 증가 (부분 지지) : 비전제시형의 경우 부(-)의 영향을 줌
가설 1-2. 팀장이 비전제시형, 동기부여형, 분석가형, 과업지시형의 역할을 각각 수행 -> 팀의 이직률에 부(-)의 영향 (부분 지지) : 비전제시형의 경우 정(+)의 영향을 줌
2) 가설 2: 팀장이 비전제시형, 동기부여형, 분석가형 역할을 각각 수행 -> 팀원의 몰입 (부분 지지) : 동기부여형의 리더만 몰입시킴
3) 가설 3: 팀장의 역할다양성 -> 팀 효과성 (부분 지지)
가설 3-1. 팀장의 역할다양성 -> 팀 성과
가설 3-2. 팀장의 역할다양성 -> 팀원의 정서적 몰입
4) 팀원의 팀장 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팀장의 역할은 팀 효과성에 정(+)의 영향 (지지)
가설 4-1. 팀원의 팀장 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팀장의 역할유형은 팀 성과에 정(+)의 영향
가설 4-2. 팀원의 팀장 수용 정도가 높을수록 팀장의 역할유형은 팀원의 몰입에 정(+)의 영향
결론
¨ 이론적/실용적 시사점
팀장의 역할행동이 객관적 팀 성과 및 정서적 팀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
역할 다양성이 높은 리더가 경영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됨
팀장의 역할행동과 성과간의 상관관계를 팀 수준에서 고찰했다는 점에서 리더십 연구 방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고 봄
팀원의 이직률과 팀원의 팀에 대한 몰입의 정도를 함께 살핌으로서 이직의도와 이직률 간의 상호관계에 대해 살펴봄
¨ 한계점
다면 평가를 통해 리더역할의 효과성에 대한 응답자간 비교 연구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음
특정 교육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한정되었음
팀장 수용이라는 개념을 매개변수로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HR 내용&트렌드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십의 선행요인 & 결과요인 (0) | 2014.02.15 |
---|---|
<HRD연구> 최근호에 게재된 논문리스트 (0) | 2014.02.14 |
[논문리뷰] 제도적 논리와 여러 실행의 확산 (0) | 2013.12.14 |
2013년 HR 10대 뉴스 & 2014년 HR 전망 (0) | 2013.12.09 |
[논문리뷰] 조직의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0) | 201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