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이용한 분석수준별 비교를 중심으로 -
한봉주 (2012). 인적자원관리연구, 19(2), 147-166.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개인 수준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조직 수준의 리더십과 동시에 모형에 수용하는 위계적 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해서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기존의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함
분석수준의 문제 존재 : 개인수준에서 측정한 자료를 총합하여 조직수준에서 사용할 경우 개인수준에서의 관계에 비해 추정치가 부풀려지는 현상 발생
그동안 개인 수준의 태도나 행태가 조직 수준에서의 조직문화, 리더십, 환경 요소에 의해 영향받는다는 점을 연구하는데 주목하지 않았음
좋은 가설과 타당한 이론도 적절한 통계적 접근방법과 정확한 해석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굴곡이나 왜곡이 있는 결론에 도달할 위험이 있음
연구 설계 (이론적 배경 / 연구방법)
¨ [독립] 리더십
Bass & Avolio(1995)가 개발한 MLQ-5X의 항목 활용
하위변인 : 변혁적 리더십(16문항) 거래적 리더십(10문항)
¨ [종속] 직무만족
각 개인이 자신의 직무와 관련하여 경험하는 모든 감정의 총화이고 이러한 감정의 균형 상태에서 기인되는 하나의 태도(Smith, 1955)
Weiss, Dawis, England, & Loftquist(1967)가 개발한 미네소타 만족 설문지(MSQ)의 20개 문항 중 13개 문항 사용
¨ [종속] 조직몰입
개인이 특정 조직에 대하여 가지는 조직목표 및 가치에 대한 인정과 신뢰, 특히 조직의 목표와 가치관에 대한 강한 신념과 수용, 조직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려는 자발적 의사, 조직구성원으로 남으려는 욕구(Porter, Steers, Mowday, & Boulian, 1974)
Mowday, Steers, & Porter(1979)가 개발한 15개 문항 중 9개 문항 사용
¨ [통제] 성별, 담당업무, 지위, 최종학력
¨ 자료 수집 및 분석
표본 : 36개 기업으로부터 1097부
위계적 선형모형, 구조방정식, 회귀분석 실시
실증 분석
¨ 신뢰성/타당성 분석
거래적 리더십 변수의 Cronbach’s alpha 값이 0.59 로 최소한의 기준은 충족함
(0.7 이상 신뢰Reliable하는 수준, 0.6~0.7 허용Acceptable하는 수준, 0.5이상 최소한의 값)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 검증
¨ 상관관계 분석 : 모든 변수들이 모두 정(+)의 상관관계
¨ 가설검증
1) 위계적 선형모형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을 통해 HLM의 적용 가능성 파악 : 조직수준의 직무만족 16.2%, 조직몰입 17.7%이며 개인 수준의 직무만족 83.8%, 조직몰입 82.3%으로 위계적 선형모형 적용 가능
가설 1: 조직의 변혁적 리더십 ->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채택)
가설 2: 조직의 거래적 리더십 ->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기각)
2) 구조방정식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부(-)의 유의한 영향
나머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
3) 회귀분석
조직수준 : 조직의 변혁적 리더십만이 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
개인수준 : 개인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 모두 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
결론
¨ 시사점
위계적 자료를 분석할 경우 HLM이 가장 적합함
구조방정식은 분석 수준이 개인이고 독립변수 간에 상관성이 있거나 종속변수가 다수이면서 응답자의 동일방법편의를 고려할 경우에 적합 (조직 수준의 상위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지는 못함)
그동안 조직의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이 분리되어 연구되던 것을 통합적으로 접근함
종단적 연구 필요 : 조직문화, 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등을 조직의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을 동시에 고려
위계적 선형모델(Hierarchical Linear Model)이란? (다층 모델, Multilevel Model이라고도 함)
Stephen Raudenbush와 Anthony Bryk 두 교육학 교수에 의해 1990년대부터 보급
기본 가정 : 개개인은 저마다 개인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또한 어떠한 조직에 속해 있음. 개개인이 속해 있는 상위조직은 그 조직마다 각기 특성이 존재함
기존의 통계모형들(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은 개개인의 특성, 조직과 개인간의 상호작용, 조직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종속변인을 예측하는 데에는 적절하지 않음
개인의 예측변인 뿐만 아니라 개인보다 상위에 있는 그룹(교실, 학군, 지역 등)의 변인을 가지고 종속변인을 예측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모형 제시
단점 : 표본 수가 적을 경우 적절하지 않음.(적어도 900명 이상). 조직의 특성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아서 그룹간 변량(Between group variance)의 차이가 적은 경우 적절하지 않음. 1수준(개인)이 2수준(그룹)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 수 없음
* 참고자료 : 유정진(2006).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아동학회지, 27(3), 169-187.
'HR 내용&트렌드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리뷰] 제도적 논리와 여러 실행의 확산 (0) | 2013.12.14 |
---|---|
2013년 HR 10대 뉴스 & 2014년 HR 전망 (0) | 2013.12.09 |
메타분석이란... (0) | 2013.10.29 |
[논문리뷰]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의 혁신성향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0) | 2013.10.28 |
김효준 대표 특강 (0) | 201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