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논문명
배을규, 동미정, 이호진 (2011). 전문성 연구 문헌의 비판적 고찰: 성과, 한계, 그리고 HRD 함의. HRD연구, 13(1), 1~26.
1. 연구 목적
- 전문성 연구 문헌의 성과와 한계를 규명함으로써 HRD 이론과 실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주요 키워드 : 전문성, 전문가, 전문성 개발
2. 연구 방법 (대상/자료수집/분석)
- 대상 : 전문성 관련 대표적인 단행본 5편, 국내 논문 16편, 외국 논문 51편
- 방법 : 문헌 연구
3. 연구 결과 - 전문성 연구의 성과와 한계
- 전문성의 개념: 전문성은 제한된 영역의 탁월한 능력을 의미하는가?
. 전문성 의미의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전문성 정의가 요구됨
. 전문성은 퍼포먼스 결과뿐만 아니라 요소 및 과정으로도 해석되고 있음
- 전문성의 요소: 전문성은 개인적인가, 관계적인가?
. 전문성의 요소에는 지식, 경험, 문제해결(스킬), 정의적/행동적 특성(직관, 창의성 등)이 있음
. 전문성 구성요소 간 상호 관계에 대한 설명이 미흡함
- 전문성의 발달: 전문성 발달은 선형적인가?
. 전문성 발달 단계 이론은 전문성의 발달 과정을 지나치게 선형적으로 제시하고 있어서 전문성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특성 및 영역들 간의 차이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음. 전문성의 구체적인 발달 과정을 충분히 알게 하지 못함
- 전문성의 개발: 전문성은 의도된 학습으로 개발되는가?
. 기존 연구 결과 : 전문성 개발에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함. 전문성은 일상 행위로서 반복된 경험에
의한 자동 생성물이 아님. 전문성은 점진적으로 개발할 수 있음
. 기존 연구 한계 : 경험의 형태와 전문성 개발 간 관련성에 대한 설명은 부족함.
Deliberate Practice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부족함. 환경적 측면 고려 미흡함.
4. 시사점 (논의)
- 이론적 함의
. 전문성은 발달적 개념으로서 유동적 속성을 지님
. 전문성은 퍼포먼스의 요소, 과정 및 절차, 결과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
. 현대의 전문성은 특정 분야나 영역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및 영역을 포괄하는 전문성임
. 전문성은 지식, 경험, 기술 외에도 개인의 정의적, 행동적 특성 등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됨
. 전문성 습득과 발달은 개인 차원의 노력뿐만 아니라 상황적 요인에 의해 중요한 영향을 받음
. 전문성은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에 의해서만 탁월한 수준으로 개발될 수 있음
- 실천적 함의
. 전문성 개발 활동의 내용과 방식은 조직이 전문성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음
. 전문성의 의미가 점차 영역 보편화됨에 따라 상이한 영역들 간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력, 직관 및 통찰력 등이 전문성으로 요구됨
. 환경은 개인의 전문성 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전문성은 잘 구조화된 실천을 통해서만 탁월한 수준으로까지 지속적 성장이 가능함
5. 논문 리뷰
- 논문의 의의/특징 : 전문성에 대한 기존 문헌을 연구함으로써 최근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어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지 알 수 있게 함.
- 추가 아이디어 : 기존 문헌에 대한 연구는 이런 식으로 하는 건가... 다른 문헌연구 논문도 좀 보면서 문헌연구 방법을 익혀야겠다...
- 참고문헌에 전문성 관련 논문들이 잘 정리되어 있어 아주 유용함
- 관련 논문 : 논문 저자들이 전문성 관련하여 추가적인 논문을 작성했는지 검색하였으나 없었음
'직장인학습법&전문성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성 관련 논문&도서 리스트 (추가 중) (0) | 2013.11.27 |
---|---|
전문가에게 필요한 지식 (동아비즈니스리뷰) (0) | 2013.09.03 |
James Bach의 "전문가가 되는 법" (0) | 2013.06.01 |
메타인지의 중요성 (문요한) (0) | 2013.02.14 |
자기주도적 삶을 위한 주말 워크샵 참가후기 (정신경영 아카데미) (0) | 201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