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에포인트를주자2017. 3. 6. 06:41

평소 아이와 함께 교육적인 방법으로 했던 것을 정리해서 화일로 만들었다. 이름하여 "어느 HRD담당자가 아이와 교육적으로 노는 방법".

 

어느 HRD담당자의 아이와 교육적으로 놀기.pdf

 

'삶에포인트를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을 오르며..  (2) 2017.10.29
정동진 밤기차 가족여행  (2) 2017.07.20
아버지 & 형들과 일본여행  (0) 2017.02.15
20주년 기념 선물을 받다.  (0) 2016.11.21
관악산 등산  (2) 2016.11.05
Posted by 일상과꿈
삶 자체가 HRD!2017. 2. 22. 12:47

이번주 토요일 초등6 작은딸아이와 대만여행을 간다.
준비물도 같이 챙기고 가서 뭐 사먹을지도 찾아보고..
환전을 얼마할지 생각하다가 아이와 함께 추론 연습을 하기로 했다(추론이라는 단어가 적합하지 않은 것 같은데..)
그냥 감으로 '50만원 정도 필요하지 않을까?'하는게 아니라 어떤 항목으로 현금이 필요한데 여행동안 몇번을 하니까 얼마 필요하겠다는 식으로. 말하자면, 전체를 좀더 세분화하고 가정하에 숫자를 산출하는 연습이다.
그래서 아이와 함께 작성한 것이 아래 표이다. 계산으로는 35만원이 필요하다고 나왔다. 그런데 여러사항을 고려하고 여유를 가지기 위해 15만원 더 해서 50만원을 환전하기로 했다. 음..결국 감으로 50만원! 한 것과 같아졌다. ㅋ

'삶 자체가 H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나는 3가지 이야기하기  (0) 2017.12.12
수준을 높여가면서 훈련해야...  (0) 2017.10.07
지구본을 보면서..  (0) 2016.09.11
비폭력대화 #11  (0) 2016.05.02
비폭력대화 연습 #10 (감사하기)  (0) 2016.04.11
Posted by 일상과꿈

자료를 찾다가 "Deeper Learning"이라는 것에 대해 알게 되었다. 미국에서 2010년 이후에 벌어지고 있는 교육운동이라고 한다. 고등학교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학문적 핵심컨텐츠를 이해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하자는 움직임이라고 한다.

심층학습(Deep Learning)과 개념 면에서는 다르지 않아 보인다. Deeper Learning의 반대를 Surface Learning 또는 Shallow Learning이라고 하니까 말이다.

Deep Learning을 학계에서는 미국보다는 유럽, 캐나다, 호주 등에서 더 연구하고 있는데, Deep Learning을 학교에 적용하는 개념인 Deeper Learning은 오히려 미국에서 움직임이 더 큰 것 같다.

왜 Deep Learning이라고 하지 않고 Deeper Learning이라고 했을까? 아마도 미국을 중심으로 한창 화제가 되고 있는 Deep Learning(Machine Learning)과 구분하기 위해 그러지 않았을까? Deeper Learning이라는 단어는 2010년에 Hewlett 재단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고 한다.

Deeper Learning에서는 하위 개념으로 6개의 역량을 소개하고 있다.

1. Master core academic content (핵심이 되는 개념을 숙달하기)
2. Think critically and solve complex problems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복잡한 문제를 풀기)
3. Work collaboratively (협업하여 일하기)
4. Communicate effectively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기)
5. Learn how to learn (학습하는 방법을 알기)
6. Develop academic mindsets (학문적 마인드를 개발하기)

Deeper Learning에 대한 더 자세한 소개는 아래를 보면 될 것 같다.

http://deeperlearning4all.org/

http://www.hewlett.org/strategy/deeper-learning/

https://en.wikipedia.org/wiki/Deeper_learning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7. 2. 19. 19:02

<HRD연구>, 2016년, 18권 4호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 학습조직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박소희 
 
HRD 평가의 미래에 대한 델파이 연구
박소연 
 
기업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전이의도 영향요인
박종선, 김진모
 
학습전이, 참여동기, 사회적 자본, 반성적 사고의 구조적 관계 : 서울시교육청 초등교사 교원직무연수를 중심으로
김현진 
 
학습민첩성 연구의 쟁점과 과제
류혜현, 오헌석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7. 2. 19. 18:54

<기업교육연구> 2016년, 제 18권 제 2호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미래 연구 과제 탐색
장환영,백평구

조직 집합교육에서의 교육 유용성 지각과 심리적 분리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박세웅,이선희

사무직 근로자의 근로능력과 연령의 관계
김강호

감성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민영,장영철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실효성제고를 위한 여성경력개발제도 연구: 중공업부문 여성관리자 미달기업사례를 중심으로
전명숙 

리더-구성원 간 공유 리더십이 팀 몰입 및 팀 만족에 미치는 영향: 행위자 - 상대자 상호의존 모형(APIM)의 적용
이윤수,정희원,조대연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열의와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권상집 

일학습병행제 기업현장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연구
임경화,박윤희,장경택,오세현,이재은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