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다움찾기2015. 10. 2. 13:15

나만의 새벽습관 들이기 500일차 (10.2~1.9)

 

* 성공(진짜 성공) : 실패 = 21(0) : 7 (전체 29일)

 

* 1일차 (10.2, 금), 성공
- 취침/기상 : 12:00~6:00 (
잠잔시간 : 6: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영어듣기/읽기(13분)

* 1일차 (10.3, 토), 성공
- 취침/기상 : 12:00~6:00 (
잠잔시간 : 6: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3일차 (10.4, 일), 성공
- 취침/기상 : 1:30~6:00 (
잠잔시간 : 4: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파리공원 5바퀴 뜀

* 4일차 (10.5, 월), 성공
- 취침/기상 : 2:00~6:00 (
잠잔시간 : 4: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영어듣기/읽기(15분)

* 5일차 (10.6, 화), 성공
- 취침/기상 : 11:30~6:00 (
잠잔시간 : 6: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6일차 (10.7, 수), 실패
- 취침/기상 : 8:50~6:50 (
잠잔시간 : 9: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못함

* 7일차 (10.8, 목), 성공
- 취침/기상 : 2:00~6:00 (
잠잔시간 : 4: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8일차 (10.9, 금), 성공
- 취침/기상 : 2:00~6:00 (
잠잔시간 : 4: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9일차 (10.10, 토), 실패
- 취침/기상 : 12:00~8:30 (
잠잔시간 : 8: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못함

* 10일차 (10.11, 일), 성공
- 취침/기상 : 12:00~5:30 (
잠잔시간 : 5: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와이프 공항에 데려다줌

* 11일차 (10.12, 월), 성공
- 취침/기상 : 1:20~6:00 (
잠잔시간 : 4:4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12일차 (10.13, 화), 성공
- 취침/기상 : 12:00~6:00 (
잠잔시간 : 6: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13일차 (10.14, 수), 성공
- 취침/기상 : 12:30~6:00 (
잠잔시간 : 5: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14일차 (10.15, 목), 실패
- 취침/기상 : 11:30~6:40 (
잠잔시간 : 7:1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못함

* 15일차 (10.16, 금), 성공
- 취침/기상 : 1:20~5:20 (
잠잔시간 : 4: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와이프 공항에 데려다줌

* 16일차 (10.17, 토), 성공
- 취침/기상 : 11:00~6:00 (
잠잔시간 : 7: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17일차 (10.18, 일), 실패
- 취침/기상 : 11:00~7:00 (
잠잔시간 : 8: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못함

* 18일차 (10.19, 월), 성공
- 취침/기상 : 11:00~6:00 (
잠잔시간 : 7: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19일차 (10.20, 화), 성공
- 취침/기상 : 12:30~6:00 (
잠잔시간 : 5: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20일차 (10.21, 수), 성공
- 취침/기상 : 11:00~6:00 (
잠잔시간 : 7: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21일차 (10.22, 목), 성공
- 취침/기상 : 1:30~6:00 (
잠잔시간 : 4: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22일차 (10.23, 금), 성공
- 취침/기상 : 1:30~6:00 (
잠잔시간 : 4: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23일차 (10.24, 토), 성공
- 취침/기상 : 11:00~6:00 (
잠잔시간 : 7: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24일차 (10.25, 일), 성공
- 취침/기상 : 1:30~6:00 (
잠잔시간 : 4: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25일차 (10.26, 월), 성공
- 취침/기상 : 9:00~6:00 (
잠잔시간 : 9: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 다시 잠듦

* 26일차 (10.27, 화), 실패
- 취침/기상 : 10:00~6:30 (
잠잔시간 : 8: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못함

* 27일차 (10.28, 수), 실패
- 취침/기상 : 1:30~6:30 (
잠잔시간 : 6:0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못함

* 28일차 (10.29, 목), 실패
- 취침/기상 : 2:00~6:30 (
잠잔시간 : 4:30)
- 새벽 활동내역 : 출첵 못함

 

'자기다움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와의 대화 3  (0) 2015.11.21
작은아이와의 대화  (0) 2015.11.15
400일차 결과 정리  (0) 2015.10.02
32번째 일기 or 저널?  (0) 2015.08.24
나만의 새벽습관 들이기_400일차_후반 50일  (0) 2015.08.14
Posted by 일상과꿈
자기다움찾기2015. 10. 2. 13:12

새벽습관 들이기 400일차가 어제로 끝났다. (6.24~10.1)

결과는 또다른 실패이다.

100일차만 성공하고 200일차, 300일차, 400일차 연속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이번에는 시작이 좋았긴 했는데, 중간에 여름휴가와 추석연휴에 제대로 관리를 못하니 역시나 20일 실패가 금방이다.

특별한 이벤트나 일이 있어도 새벽시간을 지키도록 더 노력해야겠다.

 

400일차의 100일 중 성공한 날은 70일이다.

그 중 정말 성공한 날, 즉 아침에 일어나서 새벽활동을 한 것은 20일 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출첵 후 잠든 것이다.

 

500일차에는 새벽활동으로 달리기와 영어듣기/읽기만 할 생각이다.

걷기가 아니라 달리기다.

운동에는 걷기보다 잠깐이라도 달리는 것이 더 좋은 것 같다.

11월에는 10Km 마라톤도 신청해놨다.

 

100일 동안 매일 하는 것들을 엑셀로 만들어 프린트하여 체크해왔다.

몸무게도 거의 매일 아침 쟀는데, 74Kg 대에서 75Kg 대로 늘었다.

원래 73Kg 대였는데, 몸무게가 느는 이유를 모르겠다.

다시 75Kg 안쪽으로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오늘부터 다시 500일차 시작이다.

이번에는 정말 제대로 100일간의 나만의 노력을 성공으로 만들어보자!

 

 

* 나만의 새벽습관 들이기_400일차_전반 50일

* 나만의 새벽습관 들이기_400일차_후반 50일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9. 22. 00:32

<HRD Review>의 최근호(2015년 9월, 14권 3호)에 실린 아티클 리스트.

 

Editorial

Julia Storberg-Walker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Emotionally Intelligent Mentoring: Reconceptualizing Effective Mentoring Relationships

Rose Opengart, Laura Bierema

 

International HRD and Offshore Outsourcing: A Conceptual Review and Research Agenda

Valerie Anderson

 

 

Theory and Conceptual Articles

 

The HRD Eustress Model: Generating Positive Stress With Challenging Work

M. Blake Hargrove,  Wendy S. Becker, Debra F. Hargrove

 

 

Foundations and Philosophy of HRD

 

The Meaning of Organizational Learning: A Meta-Paradigm Perspective

Irina V. Popova-Nowak, Maria Cseh

 

Autoethnography as a Legitimate Approach to HRD Research: A Methodological Conversation at 30,000 Feet

Robin S. Grenier

 

 

'HR 내용&트렌드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교육연구> 최근호 아티클 리스트  (0) 2015.10.11
Developmental Network  (0) 2015.10.08
<HRDQ> 최근호 아티클 리스트  (0) 2015.09.22
학습 민첩성 (Learning Agility)  (0) 2015.09.06
육성적 피드백  (0) 2015.09.06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5. 9. 22. 00:29

<HRD Quarterly>의 최근호(2015년 가을, 26권 3호)에 실린 아티클 리스트.

 

Improving the Rigor of Quantitative HRD Research: Four Recommendations in Support of the General Hierarchy of Evidence.

Nimon, Kim F.; Astakhova, Marina.

 

Learning Transfer in Practice: A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Professionals' Perspectives.

Choi, Myungweon; Roulston, Kathryn.

 

Measuring the Business Impact of Employee Learning: A View From the Professional Services Sector.

van Rooij, Shahron Williams; Merkebu, Jerusalem.

 

The Invisible Learning Ceiling: Informal Learning Among Preschool Teachers and Assistants in a Norwegian Kindergarten.

Schei, Vidar; Nerbø, Ida.

 

Psychological Capital Intervention ( PCI): A Replication and Extension.

Dello Russo, Silvia; Stoykova, Petya

 

 

Posted by 일상과꿈

우리는 경험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운다. 그렇지만 경험했다고 다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똑같은 경험을 했어도 사람에 따라 학습한 내용과 정도에 차이가 있다. 그래서, 경험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Matsuo(2015)는 경험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프레임웍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 리뷰를 통해 경험으로부터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한 5개의 촉진자(facilitator)를 개발하였다.

 

1. 모험적인 과업 추구 (seeking challenging task)

2. 비판적 성찰 (critical reflection)

3. 일 즐기기 (enjoyment of work)

4. 학습목표 지향 (learning goal orientation)

5. 발달 네트웍 (developmental network)

 

간단히 말하면, 성향은 학습목표 지향적이어야 하고 발달 네트웍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모험적인 과업을 추구하고 일을 즐기면서 자신이 한 일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어야 경험으로부터 제대로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음..써놓고 보니 간단하지 않지만 말이다)

 

 

내가 관심있는 비판적 성찰, 발달 네트웍 등에 대해 선행연구 리뷰가 짧게 들어가 있다. 나중에 간단히 정리 요약할 때 유용할 것 같다.

 

Matsuo 교수님은 일본 삿포로에 있는 홋카이도 대학 교수님이신데, 경험학습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시는 것 같다. 검색해 보니 아래와 같은 논문들을 쓰신 것으로 나온다.

 

-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 facilitate experiential learning: the case of Yahoo Japan

- Instructional skills for on‐the‐job trai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an empirical study of Japanese firms

- The role of sales beliefs in facilitating experiential learning: An empirical study of Japanese salespeople

- Experience-based learning of Japanese IT professionals: A qualitative research

 

 

 

참고문헌

Matsuo, M. (2015). A framework for facilitating experiential lear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