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환영 교수님, 백평구 교수님께서 쓰신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미래연구과제 탐색> 논문을 읽었다. 전문성 연구에 대해서는 서울대 오헌석 교수님께서 계속 연구하고 논문발표하고 계신데, 가끔 이렇게 전문성 연구 현황에 대한 리뷰 논문이 있어 나처럼 전문성 연구에 대한 흐름이나 방향을 알고 싶은 사람에게 유용하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성이 영역간 융합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전문성 개념을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한다.


전문성 개념의 재구조화
 1. 맥락의 중요성 재확인
    1) 시스템 사고
    2) 성과공학과 전문성의 연계
    3) 전문성의 전이
    4) 전문가 중심의 미시적 관점 극복

 2. 전문성 연구의 확장 가능성 탐색
    1) 신뢰의 생산성과 새로움의 생산성의 통합
    2) 창의성과의 접점
    3) 문제 해결의 효율성에서 문제 자체의 재구조화

전문성 연구의 미래 과제
 1) 시스템 관점의 강화
 2)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
 3) 미래지향적 전문성 연구 확대
 4) 전문성 활용과 관리의 강조

 

Posted by 일상과꿈

아래는 전문성 관련 논문들과 도서들이다. 계속 추가할 예정이다. 참고문헌들은 APA 스타일로 정리하였다. (순서는 APA 스타일로 안 하고 내가 보기 편한 분류로 함. 논문명은 색깔 표시함)

 

권경인 (2007).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발달과정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지영 (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자유선택활동 운영과의 관계. 아동교육, 19(2), 39-55.

김현식 (2005).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성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4, 17-29.

신종호, 이현주, 이태수, 임선영, 윤은희, 황혜영 (2007). 연기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개인의 능력 계발 영향 요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21(2), 401-421.

채혜선, 현정희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김주영 (2009). 차량기술사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김주영, 임세영 (2008). 자동차 신제품개발 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2), 192-217.

임세영, 김주영 (2012). 차량기술사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289-314.

 

손영우, Dattel, A. R. (2002). 상황인식 민감도에 있어서의 전문성 효과: 정보처리접근법. 한국감성과학회지, 5(1), 79-90.

 

오헌석 (2004). 전문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및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연구논문.

오헌석 (2006). 인적자원 개발 과정 사례 연구-예술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 인적자원 연구센터. (단행본임..단행본은 어떻게 APA 스타일로 표현하지?)

오헌석 (2006). 전문성 개발과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9(2), 193-216.

오헌석, 김정아 (2007).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기업교육연구, 9(1), 143-168.

김정아, 오헌석 (2007). 전문성 구성요소의 발달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10(3), 111-134.

오헌석, 최지영, 최윤미, 권귀헌 (2007).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오헌석, 성은모, 배진현, 성문주 (2009). 최고 수준 전문가와 보통 수준 전문가의 특성 비교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0(4), 105-135.

 

장환영, 백평구 (2016).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미래 연구 과제 탐색. 기업교육연구, 18(2),

 

온기찬 (1996). 전문성의 본질과 직관에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4(3), 53-85.

한범숙, 온기찬 (1996). 전문성에 관한 최근의 연구동향과 교육적 의미. 전북대학교 논문집, 41, 33-53.

 

한상만 (2013). 경험학습을 통한 명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허정무 (2008). 성인교육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반성적 실천 이론 탐색. Andragogy Today, 11(2), 1-27.

 

 

Greene, R. (2013). 마스터리의 법칙 (이수경 역). 서울: 살림출판사. (원서출판 2012).

 

 

(영문은 APA 스타일을 좀더 공부하면서 정리해야겠다...)

Ericsson, K. A., Charness, N., Feltovich, P. J., & Hoffman. R. R.(Ed.) (2006).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New York: Cambridge Uni. Press.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Posted by 일상과꿈

예전에 포스팅했던 글(리추얼의 시간을 갖자)에서 잠시 언급되었던 책 <Why People Fail>에

나오는 리추얼의 방식 중에 하나가 Industry Mastery Ritual이다.

 

인터넷으로 찾아보니까 책을 사지 않더라도 일부분 볼 수가 있어 Industry Mastery Ritual 부분을 캡쳐했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산업에 대한 전문성을 쌓기 위해 매일 해야 할 것은,

20분씩 산업 관련 책을 읽고 10분씩 산업 관련 잡지, 웹사이트, 블로그를 보는 것이다.

그리고, 분기마다 해야 할 것은, 한 명의 업계 전문가와 커피 타임을 갖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매년 해야 할 것은, 업계 컨퍼런스에 두 차례 참가하는 것이다.

 

그래서, 요즘 매일 저녁에 HRD매거진 같은 잡지에서 복사한 기사 1~2개를 읽고 있다.

물론 그렇게 읽다보니, 너무 중구난방식으로 읽기 때문에 좀더 단기적인 학습목표를 잡아야겠다는

생각도 들긴 하지만...

 

특히 내가 못하는 부분, 업계 전문가를 만나는 것에 좀더 신경써야겠다.

만나고 듣고 배우는 시간을 만들어야겠다.

 

 

 

 

Posted by 일상과꿈

예전부터 관심있던 과정인데, 마침 다음주 월요일 실시하네...
가고는 싶은데, 딱히 업무적으로는 관련이 없어서 팀장님을 설득해야겠네..
고가만 아니면 그냥 휴가내고 내 돈 내고 가련만...

일반적인 자기계발 과정은 많이 있지만, 전문가, 전문성에 대한 과정은 별로 찾지 못했었는데.
아마도 손영우 교수님의 <전문가, 그들만의 법칙> 내용을 기반으로 하지 않았을까 싶긴 하지만..
한번 참석해서 내용을 들어보고 싶다.


러너코리아, <전문가 셀프리더 과정>

 

 

 

 


Posted by 일상과꿈
자기다움찾기2009. 2. 11. 09:26
요즘 경력사원 입문 온라인 교육을 듣고 있다. 회사에 대한 소개, 시스템에 대한 소개 등이 이루어지는데, 회사에서 지향하는 인재상에 대해서도 나온다. 특히 HRD를 하는 사람으로서 잘 알아두어야 하는데, 인재상 중의 하나가 "전문성"이다.

그런데, "전문성"이 일반적인 정의와 조금 다르다. "자기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사업적, 기능적 또는 기술적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industry 및 business의 첨단 trends에 대한 이해와 안목을 바탕으로 우물안 개구리 식 사고의 탈피, 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사람" 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HRD 전문가"라고 하면,
"나는 15년 동안 교육을 했다"가 아니라
"교육 트렌드는 어떻고, 앞으로의 경향은 어떠하니, 우리는 어떻게...."를 쫙 읊을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동종 IT업계로의 이직이지만, 의미있는 작업으로서 "업"을 선택했다고 생각하는 나로서는 크게 다가오는 정의이다. "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사람" 그렇게 살 수 있도록 항상 끊임없이 노력하자!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