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규 교수가 예전에 피터 드러커 교수를 인터뷰한 내용이 이재규 교수 홈페이지에 실려 있어 옮겨본다.

피터 드러커 교수는 스스로를 미래학자가 아니라 사회생태학자로 정의했다.
이미 일어난 미래를 관찰하고 새로운 현실을 제시하는 사회생태학자.

=====================================================================

대다수 사람들이 박사님을 미래학자로 인식하고 있고, 또한 박사님은 경영과 사회에 대해 실질적으로 많은 예측을 했음에도 예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싫어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실제로 시간만을 변수로 한 예측만이 가능합니다. 예컨대 행성의 궤도, 일기예보, 계절의 변화 등이 그렇지요. 자연현상에서 기적이란 무엇인가요. 기적이란, 안 일어날 일이 일어난 것이 아니에요.

그 반대로 일어날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것이 기적이지요. 다시 말해 일어날 일이 일어나지 않고 잠시 연기되는 것이 기적입니다. 치명적인 암에 걸린 사람이 의사가 진단한 생존기간보다 오래 살고 있는 것을 기적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단지 죽음이 연기된 것이지 죽을 운명의 사람이 영원히 살게 된 것은 아니지요. 하지만 기적이란 매우 드물게 일어나기 때문에 기적 같은 일을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려면 그 원인들이 먼저 형성되어야 합니다. 사회에 어떤 고유하고도 독특한 현상이 일어나면 그 결과 장차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면 19세기까지는 일반 평민들이 사회적 상승이동을 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 그것이 가능하게 된 것은 교육기회가 귀족외에 평민들에게도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사회현상에는 자연현상 법칙(Natural Law)과 같은 것은 없습니다.

따라서 사회과학자는 새로운 현실을 초래할 사회적 변화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그런 점에서 나는 미래를 예언하는 미래학자(Futurologist)가 아니라 사회생태(Socioecology)를 분석해 이미 일어난 미래를 관찰하고 새로운 현실을 제시하는 사회생태학자(Socioecologist)예요.

사회 분야에서 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부질없는 일이에요(드러커 박사는 미래는 예측의 대상이 아니라, 바람직한 미래가 있다면, 그것을 지금 결정해야 한다고 그의 저서 여러 곳에 쓰고 있다).

출처 : http://jklee.com/ttboard/ttboard.cgi?act=view&code=779&bname=JKLEE&page=1

Posted by 일상과꿈
2006년 초에 KT에서 <미래연구센터>라는 조직을 설립했다고 한다. 난 이제 발견했네...ㅋㅋ
2006년 말까지 인원을 10명에서 120명까지 늘린다고 했는데, 지금은 어쩐지 모르겠네..


동아일보, “오늘은 기술을먹고 살지만 내일은 소비자 마음을먹고산다”

디지털타임스, "KT, 미래연구센터 신설"
Posted by 일상과꿈
어제 <신사업발의 워크샵>은 무사히 잘 진행되었다. 기대했던 것보다는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줬고, 자발적인 토론이 많이 일어나 참석하셨던 상무님께서도 고무되셨을 정도다.

하루 동안의 워크샵이지만 교육적인 세션을 위해 상무님께서 적극 추천하셨던 Q-Box 대표를 모셨다. 난 사실 Q-Box라는 회사를 이번에 처음 들었다.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있는 배경음악을 검색해 주고 스트리밍해 주는 회사라고 한다. 네티즌들한테는 꽤 유명하다고 하는데 나만 몰랐나...-_-;

Q-Box 대표의 1시간 특강 제목은 'Network Company와 일하는 방식'이었다.
Network Company라고 해서 네트웍 장비 업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임직원이 일하는 방식을 네트워크처럼 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모여서 일을 한다는 개념이라고 한다. 실제 Q-Box의 종업원은 10명 밖에 안 되고 나머지 사람들은 다 Partner라는 개념으로 일한다고 한다. 그것도 뮌헨에서, 도쿄에서, 뉴욕에서, 산호세에서 일하면서. Q-Box 대표 자신은 제주에서 일하고 있단다. Q-Box 대표의 말에 의하면, 이런 형태는 자신들이 처음일 거란다.

Partner를 뽑을 때도 블로그에 글을 올려놓고 사람을 뽑았다고 한다. 자신의 초등학생 아이가 그린 그림을 올려놓고 같이 일할 디자이너를 구한다고 했더니 정말 오는 사람이 있더란다. 그것도 정말 베테랑인 사람이.

Network Company에서는 수시로 온라인에서 만나 회의하고 일을 한다.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현재 파트너가 있는 곳을 바로 볼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오후 토론 세션을 시작하면서 내가 그랬다.
"우리 오전에 들은 것처럼 Network Company가 되어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네트웍으로 연결하고 도와주는 시간이 되자"고..

정말 이제는 혼자서는 살지 못하는 시대가 되고 있다.



Posted by 일상과꿈
2007년 4월 12일자 국민일보 [김상온 칼럼]에 "미래예측, 그거 왜 하는데?"라는 글이 실렸다.

내 눈을 끄는 것은 미래학의 영문 표기에 대한 내용이다.

김상온 칼럼에 따르면, 1940년대 중반 독일 학자 오시프 플렉트하임이 명명한 대로 Futurology라고 했지만 60년대 이후 Futures studies가 더 보편화됐다. 여기서 눈여겨 봐야 할 것이 Future가 단수가 아니라 복수로 쓰여졌다는 점이다. 우리의 미래는 다양한 미래이 예측되고 대체미래(Alternative Future)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Posted by 일상과꿈

미래 예측의 기술

 

'실리콘 밸리의 예언자'로 불리는 폴 사포(Saffo)는 미국 미래연구센터(Institute for the Future)의 저명한 미래학자이다. 20여년간 정보통신 산업의 방향을 예측해 왔다고 한다.

 

폴 사포가 최근 HBR에 '효과적인 미래 예측의 원칙' 5가지를 제시했고 조선일보에서 간추려 기사로 냈다.

 

1. S-커브를 연구하라

 미래를 제대로 예측하려면 폭발적인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이 언제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인터넷 산업이 갑자기 번창한 것은 인터넷이 개발된 지 20년이나 지난 후였다.

(폴 사포가 말하는 S-커브는 Gartner Group에서 사용하는 Hype Cycle과 같은 개념으로 보인다.)

 

2. 사소한 단서들을 주목하라

사소한 징후들이 모여 미래 예측의 강력한 단서를 제공할 때가 많다.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거래는 1990년대 후반 시작됐지만 한동안 주춤했다. 그러나 지금은 엄청난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사소한 단서들을 주목하기 위해 전세계 신문을 탐독했던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트가 생각나는군...)

 

3. 강력한 정보를 믿지 마라

강력한 정보 하나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라. 오히려 사소한 정보 여러 개가 훨씬 유용하다.

 

4. 1년 앞을 보려면 지나간 2년을 돌아보라

과거는 미래를 내다보는 훌륭한 거울이지만 가까운 과거는 미래 예측에 별 도움이 안 된다. 과거를 넓게 돌아보고 패턴을 파악해야 한다.

 

5. 미래를 예측하지 말아야 할 때도 있다

상황이 너무 불확실해서 예측이 무의미한 경우도 있다. 그럴 때는 한발 뒤로 물러서서 상황이 정리되고 변수가 줄어들 때까지 기다리는 편이 낫다.

 

 

출처 : 조선일보 2007년 6월 29일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6/29/2007062900038.html

원출처 : Harvard Business Review, 2007년 7/8월호

Posted by 일상과꿈
"한국 IT 기술력 놀랍지만 미래 연구가 별로 없다"

테드 고든 유엔미래포럼 초대회장이 2년 전 한국에 와서 한 말이다.

테드 고든은 미래학자이다. 원래는 미사일 개발 엔지니어였었다. (어떻게 엔지니어에서 미래학자로 변신했는지 변신의 방법이 궁금하다) 미국 랜드연구소의 미래예측기법인 '델파이 기법'을 만들고 1971년 세계 최대의 미래 전략 컨설팅 기관인 '퓨처스 그룹(The Futures Group)'을 설립해 20여 년간 운영해 왔다고 하니 나만 모르고 꽤 유명한 사람인가 보다..

이런 테드 고든이 2년전에 우리 나라에 조언한 것은 미래를 예측하는 전문인력 양성 체제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선진국에 비해 미래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정기적인 보고서를 내는 곳이 없다는 것이다.


이번에 테드 고든과 박영숙 유엔미래포럼 한국대표 등이 <전략적 사고를 위한 미래예측>이란 책을 냈다. 미래학자의 자질과 사회적 위치, 미래예측 방법론 등에 대해 정리되어 있다고 하니, 조만간 일독을 해야겠다.


Posted by 일상과꿈

미래학자가 될 수 있는 비결을 묻는 한국 학생의 질문에 대해 앨빈 토플러 박사가 조언한 방법이다.

  - "책을 많이 읽고 세계로 나가 다양한 경험을 해야 한다"

  - "꿈을 잃지 말 것"
 
  - "작가의 꿈을 꾸었기에 기자가 될 수 있었고, 변화의 시기에 기자를 하면서
      미래를 꿈꾸었기에 미래학자가 될 수 있었다"

  - "젊은 날의 매력은 결국 꿈을 위해 무엇을 저지르는 것"


자세한 내용은 매경의 허연기자가 쓴 기사 참조.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287737



아래는 Yes24 홈페이지에 실린 내용 중 미래학자가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질문에 답변한 내용이다.

“미래학자가 되려면 독서를 많이 해야 합니다. 나는 ‘읽는 기계’라고 하는데, 신문을 많이 있습니다. 영문판 일본 신문도 읽습니다. 그리고 전 세계로 출장을 자주 다니고, 여러 나라와 대륙을 돌아다니면서 많은 문화를 접하고 배웁니다. 이런 것이 미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줍니다.”

실제로 그는 하루 6~7개의 신문을 열독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신문을 읽느라 손끝이 까매진다’며 자신을 신문 중독자로 표현할 정도이다. 끝없는 호기심과 독서, 사색이 통찰력의 원천이라고 말한다.



http://www.yes24.com/ChYes/ChyesView.aspx?title=003003&cont=1873

Posted by 일상과꿈
에듀 크루즈(Edu-Cruise)

에듀 크루즈는 우아하게 즐기는 '로맨틱 크루즈'와 달리 평소 흥미를 가져온 주제에 대한 강의를 가벼운 마음으로 들을 수 있는 여행 상품이다.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알아주는 전문가가 강사로 참석하여 선상 강의를 제공한다. 선상 강의의 주제는 경제학이나 역사에서 시작하여 음악, 건축, 사진 등 예술 영역, IT나 환경문제까지 다양하다.

큐나드(cunard.com)는 '퀸메리2'호를 타고 항해의 역사나 골동품 수집, 웰빙 등의 주제를 다루는 강의를 접할 수 있는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알래스카와 시베리아를 노선으로 하는 스미소니언저니스(smithsonianjourneys.org)의 크루즈는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온다.

기타
대서양을 횡단하며 '냉전 시대의 간첩활동'에 대해 배우기
미시시피 강을 따라 '허클베리핀의 모험'을 쓴 작가 마크 트웨인의 문학 세계 조명해 보기
지중해를 배경으로 추억의 앨범을 직접 꾸며보는 '스크랩북 만들기' 등

**
에듀 크루즈라는 트렌드가 연수부서에 있는 나에게 주는 시사점은 뭘까?
자신이 주력으로 내세우는 강의 영역이 있어야 한다?
Posted by 일상과꿈

전에 유비쿼터스 관련 교육과정을 담당하면서 전자신문에 기고한 글이다. (2006년 4월 11일 게재)

얼굴이 좀 이상하게 나왔다...

음...원래 이상한 얼굴이지 않을까 상상하는 사람은 없겠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일상과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