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D Review 최근호(2015 3월, 14(1))에 실린 아티클 리스트.

 

Editor’s Comment: Increasing the Impact of HRDR Through Principled Pluralism

Julia Storberg-Walker

 

Guest Editorial: Engaging With Employee Engagement in HRD Theory and Practice

Cliff Oswick

 

Theory and Conceptual Articles

Exploring Organizational Alignment-Employee Engagement Linkages and Impact on Individual Performance: A Conceptual Model

Meera Alagaraja and Brad Shuck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s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Proposing Research Agendas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Marie Carasco-Saul, Woocheol Kim, Taesung Kim

 

Skunked: An Integrative Review Exploring the Consequences of the Dysfunctional Leader and Implications for Those Employees Who Work for Them

Kevin Rose, Brad Shuck, Devon Twyford, Matt Bergman

 

Examining the Dimension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Questionnaire: A Re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Utilizing the DLOQ

Junhee Kim, Toby Egan, Homer Tolson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4. 9. 29. 21:30

Academy of HRD에서는 4개의 저널을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다(HRD Quarterly, HRD International, HRD Review, Advances in Developing Resources). 이 중 HRD Review는 이론 수립 및 틀, 연구방법에 중점을 둔 이론 중심의 학술지로서 리뷰 아티클에 특히 중점을 두고 있다. (HRD Review가 내는 논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저널의 목적과 범위를 참고

 

최근 HRD Review의 아티클을 읽다 보니 역시나 문헌리뷰 아티클을 많이 보게 되었다. 문헌리뷰(문헌고찰)에는 체계적 문헌리뷰(Systematic literature review), 통합적 문헌리뷰(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역사적 문헌리뷰(historic literature review), 고속 구조적 문헌리뷰(RSLR: rapid structured literature review)가 있다고 한다. 통합적 문헌리뷰는 특정 현상에 접근하기 위해 실증적이든 비실증적이든 개념적이든 이론적이든 다양한 학문적 문헌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포괄적인 형태의 문헌 연구를 말한다. 역사적 문헌리뷰는 역사적 힘을 잡아내는 문헌의 렌즈를 통해 과거의 현상(또는 현재 진행중인 현상)에 대한 이해를 재구성, 구성, 해체한다고 한다. 고속 구조적 문헌리뷰는 통합적 문헌리뷰와 비슷하지만, 실용적이고 정책 기반의 문헌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한다.

 

HRD Review를 통해 2005년에 Torraco는 통합적 문헌리뷰를 작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5년 후인 2010년에 Callahan은 통합적 문헌리뷰와 개념적 틀 사이의 차이점을 밝히는 논문을 냈다. 그리고 바로 얼마 전에 “Writing Literature Reviews: A Reprise and Update”라는 이름으로 문헌리뷰를 잘 하기 위한 원칙(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Callahan(2014)에 따르면 문헌리뷰를 잘 하기 위해서는 5C를 잘 지켜야 한다고 한다. 첫 번째는 Concise이다. 문헌 리뷰는 주어진 토픽에 대한 다양한 문헌들에 대해 간결하게 종합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리뷰를 위한 구체적인 기준 질문이나 전제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Clear이다. 문헌 리뷰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이터 수집에 대해 프로세스를 명확히 하는 것이 엄격한 리뷰에 필수적이라고 한다. 세 번째는 Critical이다. 엄격한 문헌리뷰는 비판적 성찰과 비판적 분석을 포함한다. 성찰은 데이터가 되는 문헌을 리뷰하고 분석할 때 저자들이 고려하는 위치성, 즉 문헌을 해석하고 통찰을 뽑아내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믿음, 가치와 관련이 있다. 네 번째는 Convincing이다. 데이터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다음에는 믿을 만한 주장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종합한 결과를 설명하는 방법을 명확히 해야 하며 종합한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공해야 하며 어떠한 새로운 모델, 개념적 틀, 다른 독특한 개념이 분석으로부터 도출되었는지, 새로운 발견을 정당화하는 데이터가 믿을 만하게 사용되었는지가 중요하다. 마지막은 Contributive이다. 다른 연구와 마찬가지로 문헌리뷰도 지식체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Callahan, J.L. (2014). Writing Literature Review: A Reprise and Update,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13(3), 271-275.

Callahan, J. L. (2010). Constructing a manuscript: Distinguishing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s and

conceptual and theory articl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9, 300-304.

Torraco, R. J. (2005). Writing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Guidelines and exampl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4, 356-367.

 

 

 

Posted by 일상과꿈
HR 내용&트렌드 학습2014. 3. 19. 22:42

2014년 3월에 HRD Reveiw에 게재된 논문 리스트이다.

Editorial
Creation of a Moral Panic? Self-Plagiarism in the Academy,
Jamie L. Callah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raining Methods: A Review and Analysis, Barbara Ostrowski Martin, Klodiana Kolomitro, and Tony C. M. Lam

West Meets East? Identifying the Gap in Current Cross-Cultural Training Research,  Kyoung-Ah Nam, Yonjoo Cho, and Mimi Lee

 

Theory and Conceptual Articles
Giving Nonselective Downsizing a Performance Review, Jennifer D. Bragger, Eugene J. Kutcher, Amanda Menier, Valerie I. Sessa, and Kenneth Sumner

Extending Theory on Job Str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ther 3” and “Big 5” Personality Traits on Job Stress, Sujit Sur and Eddy S. Ng

Feedback-Seeking and Social Networking Behaviors During Job Search: A Conceptual Model, Bogdan Yamkovenko and John Paul Hatala

 

 

Posted by 일상과꿈